본문 바로가기

샐러리뷰

알바생을 위한 법률 가이드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기 쉬운 중요한 법률 상식들이 있는데요.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지키려면 근로기준법을 이해하고,
근무 조건이 법적으로 보장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오늘은 아르바이트 시 법적으로 어떤 부분을
보장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해요.

목차

1.근로계약서 작성의 중요성

2.근로시간과 휴게시간

3.최저임금

4.초과근무와 추가 수당

5.퇴직금 및 사직서 작성

 

1.근로계약서 작성의 중요성

 

근로계약서 작성의 중요성

근로계약서는 근로 조건을 명확히 기록한 중요한 문서로
임금, 근로시간, 업무 내용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확실히 알 수 있는데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급여 미지급,
근로시간 초과 등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증거를 제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근로계약서 작성은 의무이며,
이를 작성하지 않고 근무를 시작하는 것은 불법이랍니다.

🔸꼭 확인해야 할 사항🔸

근로시간: 하루 근로시간, 주 근로시간, 초과 근로에 대한 조건
급여: 시급, 월급, 급여 지급일
업무 내용: 수행할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아르바이트를 시작 시 근로계약서를 먼저
작성하고, 근로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고용주가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거나 불합리한
조건을 제시할 시 개선할 권리가 있습니다.

 

 

2.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근로시간: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초과 근로 시 추가 수당이 지급돼요

휴게시간: 4시간 이상 근무 시 30분, 8시간 이상 근무 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
제공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이에요.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을 지키지 않는 경우,
고용주에게 시정 요청을 하거나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3.최저임금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근로자가 최소한 받아야 하는 시급으로,
2025년 기준으로 시급 10,030원입니다.
모든 사업자는 이를 지켜야 하며,
위반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어요.

최저임금 확인: 자신이 받는 시급이 최저임금을
초과하는지 확인하고, 만약 고용주가 이를 지키지 않으면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미지급 시 대처법: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은 경우,
차액을 요구할 수 있어요.
아르바이트 시작 전에 시급이 최저임금을 준수하는지 확인하세요

 

 

4.초과근무와 추가 수당

 

초과근무와 추가 수당

아르바이트생은 근로시간을 초과해 근무하면 추가 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어요. 연장 근로 시 주 40시간 초과한 시간에 대해
1.5배 이상의 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이라면 초과근무 시
시급 15,000원이 됩니다.


초과근무 수당: 근로계약서에서 초과근무 규정을 확인하고, 연장 근로가
발생했을 경우 추가 수당을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만약 수당을 받지 못했다면 고용주에게
요청하거나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어요.

 

 

5.퇴직금 및 사직서 작성

 

퇴직금 및 사직서 작성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아르바이트생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입니다.
퇴직금은 근로한 기간 동안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마지막 3개월의 평균 임금에 따라 산정돼요.

퇴직금 계산
퇴직금=(평균 임금) x(근로 연수) x30일 / 365일

사직서 작성
알바를 그만둘 때 사직서를 작성하고 제출해야 하며,
퇴직금 지급 여부도 확인해야 하는데요.
퇴직 시 법적 절차를 따라
퇴직금을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아르바이트생을 위한
필수 법률 상식 5가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사직서 작성부터 근로계약서 작성과 관리,
급여명세서 카톡 발송을 쉽고 빠르게
샐러리뷰를 통해 간편하게 보내보세요~!

🔵홈페이지🔵: https://link24.kr/Gvmab67
📞고객센터: https://pf.kakao.com/_zxoxdx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