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그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금액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지급됩니다.
퇴직금은 근속 기간과 월 급여에 따라 다르며,
보통 고용 계약 종료 후 지급됩니다.
오늘은 퇴직금 계산 방법과 세전, 세후 차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 전 3개월 평균 임금과
근속 기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년 근무 시 30일분 급여가 퇴직금이 되며,
계산식은 월 급여x근속 연수x1/12입니다.
예시: 월 급여: 300만 원
근속 기간: 5년
퇴직금=300만 원x5x1/12=1,250만 원
따라서 5년 근무 시 퇴직금은 1,250만 원입니다.
🟠2.세전 퇴직금🟠
세전 퇴직금은 세금이 적용되기 전의 금액으로,
퇴직금에서 세금을 제외한 후 실제로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계산한 퇴직금 1,250만 원이
세전 퇴직금이며, 이 금액에서 세금을 차감한 후
세후 퇴직금을 받게 됩니다.
🟡3.퇴직금 세금🟡
퇴직금에 대한 세금은 소득세와
지방 소득세로 나뉩니다.
퇴직금이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세금 계산 예시
소득세: 퇴직금에 따라 3%에서 30%까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1,250만 원 3% 세율이 적용되면
소득세는 37만 5천 원입니다.
지방 소득세: 소득세의 10%로 계산되며, 37만 5천 원의
10%인 3만 7천5백 원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총 세금은 41만 2천5백 원이 됩니다.
🟢4.세후 퇴직금🟢
세후 퇴직금은 세금이 차감된 후 실제로
근로자가 받는 금액입니다.
세후 퇴직금 예시
세전 퇴직금: 1,250만 원
총 세금: 41만 2천5백 원
세후 퇴직금=1,250만 원 - 41만 2천5백 원=1,208만 7천 5백 원
따라서, 근로자가 실제로 받는 세후 퇴직금은
1,208만 7천 5백 원입니다.
🟣5.퇴직금 세금 계산 예시🟣
퇴직금 세액을 예시로 계산하면, 세금 차감 전
퇴직금이 1,250만 원이라면, 세금이 부과된 후
세후 퇴직금은 1,208만 7천 5백 원으로 줄어듭니다.
중요한 점은 퇴직금이 비과세 한도액을 초과할 경우에만
세금이 부과된다는 것입니다.
비과세 한도액 이하라면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이 한도액은 근로자가 받은 퇴직금의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
🔵6. 퇴직금 세금 절감 방법🔵
1.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하기
일시불 대신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을 분할해서
납부할 수 있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2.세금 공제 혜택 활용하기
퇴직금에서 받을 수 있는 세액 공제를
미리 확인하고 적용받으면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7. 퇴직금 세전과 세후 이해하기🟤
퇴직금은 세전과 세후 금액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퇴직금을 받을 때의 세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세금이 부과된 후 실제로 받게 되는 금액은
세전 퇴직금에서 세금을 차감한
세후 퇴직금입니다
퇴직금 세금 관리뿐만 아니라, 급여명세서 자동 발송,
근로계약서 작성 관리, 노무사 플랫폼까지 지원하는
샐러리뷰 어플을 활용해 보세요!
샐러리뷰 하나로 모든 노무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샐러리뷰로 스마트한 사업 관리를 시작하세요!
✳️홈페이지: https://link24.kr/Gvmab67
📞고객센터: https://pf.kakao.com/_zxoxdxdn
'샐러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습 기간 근로계약서의 중요성 (0) | 2025.03.19 |
---|---|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근태 관리 전략 (0) | 2025.03.14 |
효율적인 급여명세서 관리 (0) | 2025.03.07 |
2025 실업급여 완벽 가이드 (0) | 2025.03.05 |
시급 계산 1분 만에 끝내기 (0) | 2025.02.26 |